목록잡념 (11)
supergravity
메타인지는 나를 알고 내가 생각하는 방식을 알고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을 이해했을 때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이다. 스타트업은 꿈을 제시하는 대표와 목표를 실현하는 팀원이 있어야 한다. 같은 문제를 보고 생각하는 방식이 다른 경우 www.youtube.com/watch?v=WMlk2EGz8uM 위의 링크는 기본소득 관련 100분 토론이다. 두 정치인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는데... 이는 생각의 알고리즘 차이에서 발생한다. 꿈을 제시하는 대표와 같은 인물의 정치인이 이재명 님이고 목표를 실현하는 팀원과 같은 인물의 정치인은 원희룡 님이다. 나의 생각의 알고리즘 수년간 이론물리를 하면서 나의 생각의 프로세스는 이론물리의 프로세스에 동기화되었다. 이론물리의 프로세스는 자연을 생각하는 신념을 바탕으로 ..
시작 사업을 위해 활동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교육에 무방비로 노출이 된다. 그러다 보니 교육자의 수준이 다양하다. 극단적인 경우의 교육자는 교육 시작 전 동기부여를 역겨운 수준으로 나에게 시전 하였다. 역겨운 교육자의 동기 부여는 이렇다. 글쓰기는 중요하다. 너희들은 논리적 글쓰기가 부족하다. 사업계획서는 논리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그래서 사업계획서의 논리를 위해서 논리적인 글쓰기를 배워야 한다. 위의 발언은 말도 안 되는 말이다. 글쓰기는 논리성과 감정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연결되고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 특히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는 신념을 통해 감정적 요소를 담아야 한다. 만약 교육자가 글쓰기(특히 미래에 대한 글쓰기) 교육을 논리성과 감정적 요소를 독립적으로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발..
창업활동을 하다 보면 다른 사람을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 대략 10번 정도의 지원사업을 광탈했다.(인생 망함 ㅈㅈ) 하지만 이과정 속에서 느낀 점이 있어 글로 남기려 한다. 시작 창업 활동뿐만 아니라 취직 그리고 나의 미래를 위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미래가치를 인식해야 한다. 창업의 경우 미래가치를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팀원을 구하는 일, 투자를 받는 일 그리고 소비자들이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일들이 있다. 하지만 미래가치를 공유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인간의 뇌는 280만 년 간을 수렵채집을 하며 발달이 되어왔다. 수렵채집은 인간에게 즉각적인 가치를 준다. 그래서 인간은 먹고 싶을 때 일을 하고 식량을 얻고 욕구를 해결한다. 이처럼 인간은 즉각적..